프로젝트명 | 발주처 | 수행년도 |
도로인프라 국가성능시험장(K-ROAD) 로드맵 수립연구 | 국토교통부 | 2020년 |
KOTRA 개발협력사업 발전방안 컨설팅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2020년 |
공공현안문제해결을 위한 R&D 역량 강화 기획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20년 |
서울 홍릉일대 강소연구개발특구 종합계획 평가 대응 용역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려대학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년 |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심사 대응 컨설팅 용역 | 서울특별시 | 2020년 |
바이오신기술 이용 생물체의 실용화 촉진을 위한 바이오 위해성 평가 및 심사기술 개발 사업 기획연구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20년 |
스마트해양경찰추진단 해양경찰 R&D 리빙랩 모델 개발 기획연구 | 해양경찰청 | 2020년 |
한국-몽골 국제협력 사업 기획을 위한 컨설팅 | 이원다이애그노믹스㈜ | 2020년 |
지역사회 안심센터 중심의 경도인지장애 서비스 플랫폼 구축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0년 |
지스트 2019-2020 교육혁신위원회 결과보고서 제작 | 광주과학기술원 | 2020년 |
지스트 비전2030 수립 컨설팅 | 광주과학기술원 | 2020년 |
첨단해양경비 위성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기획연구 연구 | 해양경찰청 | 2020년 |
실외 자율주행 로봇 실증특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20년 |
자율주행셔틀버스 운행 서비스 실증특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19년 |
인간-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사업 기획 연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2019년 |
재생에너지 간헐성 대응 중형급 발전용 가스터빈 예비타당성 조사 지원 용역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2019년 |
중소벤처기업부 국제협력 추진전략 연구 | (재)중소기업연구원 | 2019년 |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KBCC) 위탁운영사업을 위한 컨설팅 용역 | 이원다이애그노믹스㈜ | 2019년 |
EnMS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온실가스 감출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기획 연구 | 한국에너지공단 | 2019년 |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환경 조성방안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19년 |
상생혁신 철강생태계 육성사업 재기획 및 예비타당성 심사 대응 | 경상북도 포항시 | 2019년 |
중소기업 거점형 산학연기술개발사업 신규기획 및 예비타당성 조사연구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2019년 |
2019년 산업부 인력양성 종합성과분석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2019년 |
연구개발특구 기업 기술 / 사업화 수요데이터 관리 연계 정책연구 | (재)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2019년 |
KBCC 사업 확보를 위한 컨설팅 | ㈜피케이엘바이오 | 2019년 |
뿌리기술 R&D사업 기획지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2019년 |
인터젠컨설팅이 소방환경 개선을 위한 리빙랩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 4월 1일부로 전국 5만2000여 소방관들이 국가직으로 전환됐다. 소방공무원의 98.7%를 차지했던 지방소방공무원 신분이 국가직 공무원으로 전환, 전국 어디에서나 보편적이고 평등한 안전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이 실현된 것이다.
그동안 소방공무원 처우에 관한 뉴스들은 화재 진압에 맞서는 소방관들의 영웅적 면모와 상반되며 국민의 안타까움을 자아냈었다. 특히 소방 장갑 등 장비 직접 구매나 예산 부족으로 장비 수준 격차를 보도한 뉴스에는 다수의 댓글이 달리며 소방관 처우 및 소방관이 사용하는 장비 개발에 대한 변화를 촉구했다.
정부 역시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현장에 반영하기 위해 마냥 손을 놓고 있지 않았으며, 2016년 도입·추진되기 시작한 리빙랩이 소방관들의 현장 목소리를 정부 연구개발 사업에 반영하고자 하는 대표적인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에 인터젠컨설팅그룹이 300명의 리빙랩 참여 소방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리빙랩이 우선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현장 분야’로는 화재보다 구조영역이 최우선 영역으로 뽑혔으며 화재, 구급, 생활안전 분야가 그 뒤를 이었다. ‘리빙랩이 우선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소방 장비 영역’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도 화재진압장비보다 보호장비가 더 높은 순위의 응답으로 나타났다. 이어 구조장비, 구급장비가 뒤를 이었고 화재진압장비는 네 번째 순위로 나타났다.
소방관들의 연구개발 과제 참여, 즉 ‘리빙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할 과제’로 소방관들은 ‘자문활동에 대한 공식적인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40%)’고 답했다. 또한 ‘리빙랩 참여의 결과가 현실에 반영되기를 원한다’는 응답도 24.7%로 조사되어 리빙랩 참여의 효능감이 보상과 함께 중요한 참여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소방관들의 목소리가 조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정책 현장에도 반영되기를 바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출처 : 뉴스에이('20.04.02)
http://www.new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7387
2019년 12월 31일, 인터젠컨설팅(주)은 에너지기술평가원으로부터 직무를 성실하게 수행하여 평가원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했습니다.
인터젠 컨설팅은 정책연구 전문기업으로의 씽크탱크 기능 강화를 위해 "공공정책연구소"를 설립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인정(2019년 11월 25일)을 받았습니다.
인터젠컨설팅이 '2019 제품안전의 날'을 맞이하여 '국가기술표준원장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인터젠과 에너지기술평가원은 10월 29일 라마다 서울 호텔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간헐성 해소와 계통 유연성 확보의 핵심 난제와 해법'이라는 주제로 제6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을 개최했습니다.
금번 포럼을 통해 우리나라 여건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 이슈를 짚어보고 새로운 이정표를 모색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관련기사1) 에기평, RE100 미래 설계의 자리 마련(에너지신문, '19.10.22)
(관련기사2) 재생에너지 전환의 최대 이슈, 유연성 확보 간헐성 해소 방안은(그린포스트코리아, '19.10.30)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594
(관련 기사1) 에기평, 中 중심 태양광 시장 판도 변화 꾀한다 - 7월 9일, 제4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 개최 (전기신문, '19.7.3)
http://m.electimes.com/article.php?aid=1562113657181919002
(관련기사 2) "국내 태양광, 기술 차별화 성장전략 갖춰야" (이투뉴스, '19.7.10)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2402
중앙소방학교 주최, 인터젠컨설팅 주관 ‘소방R&D 리빙랩 서비스 플랫폼 공청회’가 3월 26일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관련 기사) http://www.safet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34
인터젠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기평)과 3월 20일 '제2회 에너지전환 테크포럼'을 개최하고, 범수소경제 전망과 성공 안착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
인터젠컨설팅 김승혁 대표의 변화와 혁신을 통한 중소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담은 <바운스백 - 다시 뛰는 중소기업> 도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문희상 국회의장 등의 추천서!
그간 수행했던 프로젝트 리스트 정보를 포함, 인터젠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했습니다.